본문 바로가기
  • 사람이 가는 길
수필 & 긴글 쓰기

아산 맹씨행단 답사기(牙山 孟氏杏壇 踏査記)

by 탁구+ 2019. 7. 3.

아산 맹씨행단 답사기(牙山 孟氏杏壇 踏査記)


이번 답사여행은 충남 아산(온양)의 '맹씨 행단'과 그 부근의 고택들이다.
충남 온양도 이제는 수도권이다. 수도권 전철이 들어가고 도로망도 매우 잘되어 있다.
내가 맹씨 행단에 대해 알게 된 계기는 오래 되었다.
오래 전에 온양에서 근무할 때에 맹씨 행단에서 세종대왕 때의 좌의정으로, 청백리로 유명한 고불 맹사성 대감의 행적과 그 고택을 보게 되었다.
그 후 나도 은퇴를 하게 되면 그 비슷한 형태의 한옥을 짓고 맹 대감처럼 시골에서 직접 작물을 가꾸며 살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 그 고택에서 받은 느낌으로 내가 건축 하고 싶은 한옥을 스케치 해 본 적도 있다.
맹씨 행단은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 온 대가(大家)의 종택이나 고택과 같은 규모를 생각하면 실망이 크다.
조선 초이기는 하지만 한 나라의 정승의 집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간결하고 소박하다.
그러나 작고 아담하다 하더라도 그 주인들의 품격 때문인지 화려하고 거창한 다른 고택들 못지않게 풍겨지는 느낌은 강건하다.


고택은 정면 4칸, 측면 3칸의 "H" 자형 집으로 중앙에 대청을 사이에 두고 왼쪽과 오른쪽에 온돌방을 둔 홑처마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민가(古民家) 형태로 내가 자란 경북 북부지역의 일반 민가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형태이다.
다른 점이 있다면 대청을 사이에 둔 어느 한 쪽에 부엌과 고방이 있는데 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별도의 건물이 있었을 것이라는 짐작을 하게 된다.
일부가 복원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둘러쳐진 담장이나 대지의 크기와 비스듬한 지형으로 보아 그리 웅장한 규모는 아니었을 것이다.
맹사성 고택은 설화산을 서쪽으로 등지고 동북으로 배방산을 바라보고 있다. 뒤가 허전한 느낌이 들기도 하나 고택의 뒤로 담장을 이중으로 두르고 남서쪽에 송림이 울창하여 허한 부분을 보강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 고택은 고려시대에 지어진 집으로 원래 최영 장군이 살았으며 맹사성은 최영 장군의 손녀사위이다. 


고택 뒤편에는 고려 말 이군불사(二軍不事)의 고결한 절개를 지키다 순절한 두문동 72현인 맹유와 맹희도, 맹사성의 위패를 모신 사우(祠宇) '세덕사'가 있다.
마당 좌측에 있는 유명한 은행나무 두 그루는 맹사성이 1380년경에 심은 것이라고 한다. 주위에 단을 쌓고 강학을 하던 곳이라 하여 행단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오늘 날 고택과 함께 '맹씨 행단'이라 불리게 된다.
이 은행나무는 맹대감과 함께 살고 그 후 600년이 넘는 세월을 건장하게 지내오면서 세상의 흐름을 보고 들었으리라 생각하니 경외심과 함께 인생의 유한함도 함께 느끼게 된다. 
고택에서 남측으로 쪽문을 나서면 밭이 있고 송림이 있으며 그 가운데에 정자 '구괴정'이 있다.
구괴정(삼상당, 三相堂)에는 세종대왕 때의 정승 황희, 맹사성, 권진이 각기 세 그루씩 심었다고 전하는 느티나무가 있는데 지금은 아홉 그루 중 두 그루만이 오랜 세월을 견뎌 옆으로 비스듬히 누워 있다.  


여기까지는 고택에 대한 이야기이나 내가 맹씨 행단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것은 좌의정 맹대감의 인품에 대한 것이 크다.
맹사성은 매우 청빈하여 낙향 후 손수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고 하는데 지금 쪽문 밖 구괴정 부근에 있는 밭이 그 농토가 아닌가 하며 내가 답사한 그 날에도 그 밭에는 초여름 햇빛이 강하게 내려 쪼이고 있었다.
당시 아산에 신임 관료가 인사차 왔다가 옛 정승이 농사를 짓고 있으니 할 수 없이 관복을 벗어부치고 함께 밭을 갈았고, 손님으로서의 식사를 기대했으나 꽁보리밥에 나물 반찬을 내어 놓으며 '백성들은 이도 없어 못 먹는다.' 라고 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맹사성에 대해서는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많지만 강직하면서도 청렴하여 직접 경작을 하며 자연 속에서 여유 자적하게 살아가는 모습은 정말 내가 매료되는 순간이다.
(2019.6.27)




728x90

'수필 & 긴글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우상상 탁구의 반주(飯酒)  (0) 2019.08.17
베란다 농부, 올해 풍작이네!  (0) 2019.08.10
은퇴(隱退)에 대한 단상(斷想)  (0) 2019.04.30
진안 구봉산을 등산하다  (0) 2019.02.19
2월 예찬  (0) 2019.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