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을 떠나고

일상을 떠나고
내 자리를 떠나온 지도 한 달여 지났다.
머뭇거리다가 준비도 못하고 소나기 같이 주어진 시간에 적잖이 당황도 했지만 이제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처음에 무엇을 해야 될지 막막하기만 하던 시간이 점차 차분해짐을 느낀다. 아니러니 하게도 바쁘게 직장 생활을 하던 때보다 새벽 기상이 빨라지는 날들이 많다. 물론 일이 없을 때가 더 많지만 그래도 그만큼 할 일을 찾았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서서히 적응하는 것일까.
늘 시간이 없어 안타깝던 여행도 무계획적이기는 하지만 짧게 나누어 몇 번 다녀왔고 책도 꽤 여러 권 읽었으며 약간의 글도 썼다.
이제 다시는 못 쓸 것 같던 글이 책상에 앉으니 습관적으로 흘러간다. 따지고 보면 그래도 내 생활에서는 글 쓰는 시간이 행복하다. 시간의 흐름이 가장 빠르다.
몇 줄 쓰지 않은 것 같은데도 순식간에 많은 시간이 지났고 다음 할 일들이 기다리고 있다.
팔과 손목이 아프지만 그래도 그 쓰는 순간의 집중은 잡념을 없애 준다. 나는 글을 안 쓸 때는 아예 못쓰지만 시작하면 너무 빠르게 쓰는 경향이 있다. 한꺼번에 몇 페이지를 쓰거나 짧은 글을 쓸 때에는 쓰는 과정에 새로운 주제가 생각나 몇 편을 연거푸 쓰는 때도 있다.
이번에 글을 쓰면서 다시 느끼는 것이지만 그동안의 글은 깊은 사유 없이 너무 빠르게 썼다. 그러니 글 쓰는 형식이나 내용상에 깊이가 없다고 스스로 느끼는 것도 당연하다. 학술이나 전문적인 내용이 아니니 자료를 찾는다거나 그러한 시간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단순히 생각을 기록한다고 해도 많은 부분이 날림이 된 경우가 많다.
하기는 직장 생활을 하면서 짧은 시간에 틈틈이 쓰는 것이니 그 순간의 스치는 생각을 놓치지 말아야 되고, 그러니 글이 좀 가볍고 거칠 수밖에 없었다.
요즘 조금 여유를 가지고 다른 사람들의 글을 읽어보면서 모두 글을 참 잘 쓴다는 생각을 했다. 나도 그동안 쓴 것들이 생각을 조금 더 깊이하고 신중하게 썼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그러면 식견이 모자라더라도 글이 조금 더 매끄럽고 깊이가 있으며 내용도 더 정확하게 기록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동안 다른 사람들의 책을 꽤 자주 접하기는 했지만 내 자신이 글을 쓸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는 않았다. 그저 공감이 가는 책을 보다 빠른 시간에 읽고 이해하자는 생각 정도였던 것 같다. 그렇다고 이미 써 놓은 것을 수정할 생각은 없다. 특별한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가능한 여유를 가지고 생각을 많이 하며 써야겠다. 그리고 한 번쯤 퇴고도 해야겠다.
오랜 직장을 생활을 마무리하면서 그동안 생업이라는 이유로 매여 살아온 생활이 너무 빡빡했음을 느낀다. 큰 목적을 가진 것도 아니고 특별한 욕심도 없었다. 그리고 그 결과가 내세울 만큼 훌륭한 것도 아니다. 그냥 보통 사람들처럼 일상이었다.
그런데도 꼭 그래야만 했을까? 그렇게 빡빡하게 스스로를 옭아매며 생활하여야 했을까. 그것이 직장인으로서의 절대적인 선이었으며 올바른 자세였을까? 요즘의 미쳐 준비 없이 맞이한 여유 시간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도 일정부분 그 때문 인 것 같다.
인생은 여유로워야 한다고 여러 사람에게 말해왔지만 정작 나는 시간이 지난 이제야 그 뜻을 몸으로 이해하게 된다.
내 인생의 전반은 분주해서 그랬다손 치더라도 이제 매인 생활에서 해방된 후반은 정말 여유로워 져야 되지 않을까 싶은데, 최근 며칠간의 갈등을 보면 아직은 그렇지 못하다. 귀중한 시간을 계획이나 특별한 할일 없이 보낸 다는 것이 여유롭다기보다는 무료하고 적적하며 어떨 때에는 염려를 느끼기도 한다. 공포 까지는 아니라도 말이다.
약간의 갈등 끝에 마무리를 하고 사무실을 떠나면서 아쉬움도 있었다. 나이 들면 당연히 떠나야 하는 것이 순리이다. 어떻게 보면 제2의 직장까지 더하여 보통 사람들보다가는 훨씬 긴 시간을 직장에서 보낸 후에 떠난다. 그럼에도 실감이 나지 않고 먹먹한 순간들이 많다. 어떤 때는 따질 이유도 되지 않은 이유로 분노가 치솟기도 했다.
다행히 차츰 새로운 생활에 적응하고 있는 자신을 본다.
역시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다. 상황에 민감하고 환경에 적응하게 되어 있다. 앞으로 어떤 일을, 직업적인 일이 아니라도 어떤 역할을 담당하며 남은 시간을 보내게 될 런지는 아직은 미지수다.
매사를 긍정으로 보고 조급하지 않게 접근해 가야겠다. 그리고 남은 시간을 다른 사람이나 사회를 위해 기부한다는 생각도 해 봐야겠다.
특별한 변수가 없다고 보면 지금처럼 서서히 적응하며 한발 한발 접근하는 것도 방법인 것 같다. 이제부터의 인생은 거창한 활동을 한다기보다가는 여유롭게, 고민하지 않고 보내는 것이 의미 있는 삶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